1. BPO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업무 프로세스 아웃소싱)
- 기업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 업무를 제외한 모든 업무를 외부 전문 업체에 위탁하여 자사의 핵심 업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경영 기법
- 제품 개발의 기획 단계부터 운영, 모니터링 등 모든 단계를 외부 업체에 맡겨 운영하는 것
- 기업이 필요한 핵심 업무를 수행할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활용 가능
- BPO 도입 절차 : 대상 업무 선정 -> 전문 외부 업체 선정 -> 협상 및 계약 -> 전환 및 이행 -> 서비스 수준 및 성과 측정
* ITO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정보 기술 아웃소싱)
- 프로그래밍이나 인터넷 등 IT 관련 업무들을 외부 전문 업체에 위탁하는 경영 기법
구분 | BPO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 ITO(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
대상업무 | 비핵심 업무 | IT 서비스 |
목적 | 업무 유연성, 비용 절감 | 전문성, 비용 절감 |
사업분야 | 행정, 재무, 유통, 회계 |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 |
2. SLA(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수준 계약)
- 서비스 시간, 가용성, 성능, 복구 등 일정한 서비스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IT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간에 맺는 계약
-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기술하여 계약. 책임 소재에 대한 분쟁 최소화
- SLA 맺어지면 IT서비스 사업자는 SLM(Service Level Management)을 통해 지속적인 품질관리와 보고업무 수행
- 구성 요소
서비스의 내용과 범위 | 서비스의 기간 및 범위, 방법 등 |
SLO(Service Level Objective) | 서비스 수준을 표현하기 위한 실제 항목의 기준 및 목표치 |
문제 발생 시 처리 절차 | 서비스 제공중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는 절차 |
품질 관리 및 측정치 보고 방법 | 품질 관리의 내용들과 SLO 항목들의 측정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
위약 | 측정치가 기준이나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사업자가 사용자에게 보상해야 하는 금액의 산정 기준과 방법 |
3. SLM(Service Level Management 서비스 수준 관리)
- IT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 간에 맺은 SLA에서 정의한 서비스에 대해 성과와 문제점을 정확히 측정, 평가하고 개선해 나아가는 과정
- 서비스 사용자- SLM을 통해 서비스 수준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고 받음으로써 만족도 ↑, 서비스 제공자- 신뢰성↑
- SLA 합의 시 어느 한쪽만 만족시키는 SLO(Service Level Objective)를 설정해서는 안되며 서로 충분한 협의와 지속적인 의사소통이 있어야 함
4. ITSM (IT Service Management IT 서비스 관리)
-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IT 서비스의 계획, 설계, 제공,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가 수행하는 프로세스 및 지원 절차
- 사용자의 요구와 IT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프로세스 접근 방식을 채택
프로세스(Process) | IT 서비스 제공 및 지원을 위한 프로세스 |
인력(People) | 직원들의 적합한 기술 보유 여부와 효과적인 운용 |
조직(Organization) | 사업 목표와 전략, 내 외부의 여러 요소 |
기술(Technology) | 프로세스 자동화 및 솔루션 |
5. ITIL (IT Infrastructure Library 정보기술 인프라 라이브러리)
- IT서비스의 운영 및 관리를 돕기 위한 문서들의 집합
- IT 조직이 기존의 기술 중심적인 운영에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초점을 맞툰 고객 지향적인 운영방식을 채택함에 ᄄᆞ라 각자 개별적인 IT 관리 관행을 만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국정부가 다양한 IT 서비스들의 관리방법들을 모아 만든 표준적인 참고 문헌
- 구성요소 : 서비스전략 / 서비스설계 / 서비스전환 / 서비스운영 /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6. ISO/IEC 20000
- IT 서비스 관리에 대한 최초의 국제 표준
- IT 서비스 제공업체가 고객의 요구에 맞는 IT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방법과 표준 제공, 제공업체가 운영 중인 IT 서비스에 대한 관리 및 평가방법 제시
| ISO 20000 | e-SCM |
제정기관 | ISO | 카네기 멜론 대학 |
특징 | 고객중심의 IT서비스 개발 및 구현방법 제공 | 서비스 제공자의 능력 수준을 평가할 객관적 수단 제공 |
표준유형 | 공식 표준 | 사실 표준 |
인증유형 | 인증 여부 결정형 | 단계별 인증(5단계) |
인증대상 | ITSM/ITIL 기반의 서비스 내용 | IT 아웃소싱의 서비스 수준 |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실기]4과목 시스템 관리 및 보안 (0) | 2019.12.26 |
---|---|
[정보처리기사][실기]3과목 6 전자상거래 (0) | 2019.12.26 |
[정보처리기사][실기]3과목 4 시스템 통합 (0) | 2019.12.26 |
[정보처리기사][실기]3과목 3 전사적 자원 관리 (0) | 2019.12.26 |
[정보처리기사][실기]3과목 2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 (0) | 2019.12.26 |